이병천노트 210

후기 마르크스의 러시아론 해석을 둘러싸고 ㅡ "탈성장코뮤니즘"(사이토 고헤이)?

후기 마르크스의 러시아론 해석 ㅡ 탈성장코뮤니즘이라는 유령 후기마르크스가 말한 러시아의 비자본주의 발전( 이른바 "비자발")과 공동체 재생의 길은 선진국으로부터 생산력이식 (전파)을 전제로 하고 있다. 내가 보기에 탈성장을 말하고 있지는 않다.세계시장에서 선행 또는 병행하고 있는 선진국 생산력의 이식에 기반한 비자발론이다. 사이토 고헤이 이전에 이미 마르크스의 러시아론에 대한 연구가 적지 않지만 탈성장론으로 읽은 학자들은 없다. 그들은 모두 잘못 읽은 것일까? 마르크스의 러시아론에 기대어 "탈성장코뮤니즘" (사이토 고헤이)을 말할 수 있을까? 과연 누가 무엇을 오해했나 ? #마르크스러시아론 #탈성장코뮤니즘 #사이토고헤이

이병천노트 2023.06.29

인류세의 정치, "안전하고 정의로운 공간" - 과도한 단순화를 경계한다(드라이젝 & 피커링)

The Politics of the Anthropocene, John S. Dryzek & Jonathan Pickering, 2019 - “The idea of a safe and just operating space valuably reminds us that, while avoiding dangerous instability in the Earth system is important, the pursuit of justice remains vital too.12 However, the view that sustainability defines the ecological ceiling while justice defines the social foundation is an oversimplificat..

이병천노트 2023.06.27

자본주의 다양성과 탈성장 궤적 - 전환 대안은 모종의 hybrids가 될 것이다 (Hubert Buch-Hansen)

Capitalist diversity and degrowth trajectories to steady-state economies 2014, by Hubert Buch-Hansen 결론부분 "To render the “concrete utopia” of de-growth scholars and steadystate economists more specific, the article utilised insights from scholarship on capitalist diversity and institutional change to develop a typology of different models of capitalism and their de-growth trajectories to a vari..

이병천노트 2023.06.27

생태적 계몽 - 외경의 회복을 위하여 (디페시 차크라바르티, [행성시대 역사의 기후]에서 )

생태적 계몽 ㅡ 외경의 회복을 위하여 1.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 [계몽의 변증법]. ㅡ "계몽의 주요 목표는 인간이 두려움을 극복하도록 돕는 것이다". 2. 차크라바르티ㅡ "저는 여전히 두려움이 제 삶의 일부인 곳에서 성장했습니다. 생물다양성의 기적에 대한 우리의 매우 아리스토텔레스적인 경이의 감각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외경 (reverence)과 관련된 무언가를 회복해야만 합니다" ( [행성시대 역사의 기후], 에코리브르, 이신철역, 2023, 352-353면). * 책끝에 수록된 차크라바르티와 라투르의 대담이 흥미롭다. 두 석학의 탐색적(?)대화는 깊은 동지적 공감과 함께 나름의 견해차이도 보여주고 있다. * 조선의 동학은 삼경(경천, 경린, 경물)을 말했다. *아주 중요한 책이 번역되었는데,..

이병천노트 2023.06.25

Geo-social(지구사회적인 것?)의 재조립 - 라투르, 슐츠와의 대화

"Reassembling The Geo-Social: A Conversation with Bruno Latour and Nikolaj Schultz"에서, 주목해야 할 급진적 대목을 추출하자면, 일단 두 군데 - 1.소유권문제) The issue introduce the question of solidarity between overlapping entities which is at the heart of the New Climatic Regime. Your territory is actually my territory. When you pollute, you are invading my land. Again, the whole overlapping of ’property right’, so to spe..

이병천노트 2023.06.19

탈성장과 정상상태경제는 상호 보완적이다 - 케르쉬네르(Kerschner )의 견해

"In recent years the concept of economic de-growth (decroissance) based on the literature of Nicolas Georgescu-Roegen e.g. [1–3] has found a revival in France, Italy, Spain and other countries, in the popular as well as in the academic literature. Therein authors took on board Georgescu-Roegens’ categorical rejection of a steady-state economy (SSE), as proposed by Herman Daly [4]. They argue tha..

이병천노트 2023.06.15

죽은 프리드먼의 망령이 한국을 덮치다 - '프리드먼-윤석열 체제'의 무책임 극단주의

[이병천 칼럼] 무책임한 극단주의, 프리드먼과 윤석열 - 경향신문 (khan.co.kr) [이병천 칼럼] 무책임한 극단주의, 프리드먼과 윤석열 신자유주의의 원조 밀턴 프리드먼은 2006년에 죽었다. 오늘의 전환시대는 프리드먼의 육신과 함께... www.khan.co.kr #프리드먼 #윤석열 #프리드먼_윤석열체제 #무책임극단주의

이병천노트 2023.06.12

커먼 (common)사회를 위한 9개의 정치적 명제 - 다르도(Dardot)와 라발(Laval) 견해 요약

커먼즈의 구성을 위한 9개의 정치적 명제 - 시 비평 및 문학 비평 - 시의 강물처럼 -심우기의 시창작 (daum.net) 커먼즈의 구성을 위한 9개의 정치적 명제 커먼즈의 구성을 위한 9개의 정치적 명제 경제, 커먼즈 패러다임 · 커머닝 Christian Laval, Common: An Essay on Revolution in the 21st Century, commons, Martin O’Shaughnessy, Pierre Dardot, the common, 공공서비스, m.cafe.daum.net *다르도 & 라발의 견해를 요약한 글임. 유용하다. 이들은 commons가 아니라 common을 앞세운다. #커먼 #커먼즈 #커머닝 #다르도 #라발

이병천노트 2023.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