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 아렌트, [전체주의의 기원]이 오늘의 우리에게 주는 불후의 교훈
"It is inherent in our entire philosophical tradition that we cannot conceive of a "radical evil," and this is true both for Christian theology, which conceded even to the Devil himself a celestial origin, as well as for Kant, the only philosopher who, in the word he coined for it, at least must have suspected the existence of this evil even though he immediately rationalized it in the concept of a "perverted ill will" that could be explained by comprehensible motives. Therefore, we actually have nothing to fall back on in order to understand a phenomenon that nevertheless confronts us with its overpowering reality and breaks down all standards we know. There is only one thing that seems to be discernible: we may say that radical evil has emerged in connection with a system in which all men have become equally superfluous. The manipulators of this system believe in their own superfluousness as much as in that of all others, and the totalitarian murderers are all the more dangerous because they do not care if they themselves are alive or dead, if they ever lived or never were born. The danger of the corpse factories and holes of oblivion is that today, with populations and homelessness everywhere on the increase, masses of people are continuously rendered superfluous if we continue to think of our world in utilitarian terms.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events everywhere are in a silent conspiracy with totalitarian instruments devised for making men superfluous. The implied temptation is well understood by the utilitarian common sense of the masses, who in most countries are too desperate to retain much fear of death. The Nazis and the Bolsheviks can be sure that their factories of annihilation which demonstrate the swiftest solution to the problem of over population, of economically superfluous and socially rootless human masses, /are as much of an attraction as a warning. Totalitarian solutions may well survive the fall of totalitarian regimes in the form of strong temptations which will come up whenever it seems impossible to alleviate political, social, or economic misery in a manner worthy of man."
(459, 12장 권력을 장악한 전체주의의 결론부분).
우리가 “근본적인 악”을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은 우리의 전체 철학적 전통에 내재되어 있으며, 이것은 악마 자신에게조차 천상의 기원을 인정한 기독교 신학뿐만이 아닙니다. 이는 자신이 만든 단어로 이해할 수있는 동기로 설명 할 수있는 “왜곡된 악”의 개념으로 즉시 합리화 했음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이 악의 존재를 의심해야했던 유일한 철학자인 칸트에게도 해당됩니다. 따라서 압도적인 현실에 직면하고 우리가 알고있는 모든 기준을 무너 뜨리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실제로 기대야 할 것이 없습니다. 단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모든 사람이 똑같이 무용지물이 된 시스템과 관련하여 근본적 악이 등장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의 조작자들은 다른 모든 사람들만큼 자신이 무용지물임을 믿으며 전체주의 살인자들은 자신이 살았는지 죽었는지, 살았거나 태어나지 않았는지 상관하지 않기 때문에 더욱 위험합니다. 시체 공장과 망각의 구멍의 위험성은 오늘날 인구와 노숙자가 도처에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가 세상을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계속 생각한다면 수많은 사람들이 계속해서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도처에서 일어나는 정치, 사회, 경제적 사건들은 인간을 무용지물로 만들기 위해 고안된 전체주의적 도구와 소리 없는 음모를 꾸미고 있습니다. 암묵적인 유혹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너무 절박한 대중의 공리주의적 상식으로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나치와 볼셰비키는/ 인구 과잉, 경제적으로 불필요하고 사회적으로 뿌리뽑힌 인간 대중의 문제에 대한 가장 빠른 해결책을 보여주는 전멸의 공장이, 경고만큼이나 매력적이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전체주의적 해법은 전체주의 체제의 몰락 이후에도 살아 남을 수 있으며, 이는 정치적, 사회적 또는 경제적 불행을 인간에 합당한 방식으로 완화하는 것이 불가능해 보일 때마다 강력한 유혹의 형태로 나타날 것입니다.(디플 번역 ).
#아렌트 #전체주의기원 #쓸모없음 #뿌리뽑힘 #급진적악 #포퓰리즘 #공리주의
'이병천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우의 규모와 그 이상의 문제 -극우와 보수의 동맹에 주목하라 (0) | 2025.03.30 |
---|---|
한나 아렌트- 파시즘 운동, 끊임없는 거짓말, 대중조작 (0) | 2025.02.08 |
한나 아렌트, [전체주의의 기원] 이 오늘에 주는 불후의 교훈 (0) | 2025.01.23 |
앙드레 고르, 에콜로지카 - 자본주의로부터 이탈은 이미 시작되었다 (0) | 2024.11.27 |
앙드레 고르, 사회주의란 무엇인가 (0) | 2024.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