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람시 맑스주의 포스트맑스주의-사회평론.pdf
0.89MB
*1994년에 쓴 글이다(사회경제평론 7). 나이를 먹은 탓인지 옛 생각을 하며 과거 글들을 뒤져 보고 있는데, 약 30년이 지난 글이다. 나는 여기서 라클라우/무페의 헤게모니론에 대해 두가지 지점을 비판적으로 지적하고 있다.
#포스트마르크스주의 #라클라우무페 #그람시
*관련된 글로 관심있는 분은 본 블로그의 다음 글도 참고하기 바란다. 약 10년이후에 쓴 글로서 나의 마르크스 이해 궤적을 보여 준다.
'마르크스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 히라다 선생(평전청명)의 유산과 현재성' 수정하기 (tistory.com)
이병천, “일본의 시민사회파와 정치경제(학) 비판:
平田淸明의 유산과 현재성“, 사회경제평론 제21호
(2003).
'이병천-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먼즈론은 공동재산권을 어떻게 보는가 - 세가지 시선 (0) | 2023.02.21 |
---|---|
우자와 히로후미의 사회적 공통자본론과 미완의 제도주의 (0) | 2023.02.18 |
김도균, 『한국복지자본주의의 역사: 자산기반복지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review article (0) | 2023.01.20 |
기후정의와 사회정의, 어떤 전환전략인가?- 탈성장접근과 포스트성장접근 (0) | 2022.12.30 |
마르크스의 모순 아렌트의 모순 (0) | 2017.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