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i.co.kr/arti/PRINT/639396.html
2014-05-28 16:41
"가장 많이 통용되는 의미는 공공복리일 것이다. 나는 이렇게 정리해보았다. 공공성은 민주 공화주의의 기본가치다. 공공성은 ‘같은 배를 타고 간다는 것’이 무엇인지 질문하는 것이다. 같은 배를 탄다는 것은 공동체 구성원 모두에게 어떤 차별 없이 ‘몫’(stake)을 주는 것이다. 개별 구성원 모두 ‘스테이크 홀더’(이해관계자)다. 사회 구성원들이 모두 권리와 동시에 책임을 가지고 공동체 일과 정치에 참여해야 한다. 이게 바로 ‘능동적 공공성’이다.
두번째는 모든 구성원이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자원에 보편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방어적·보호적 공공성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데, 이것이 제대로 보장돼야 능동적 공공성으로 나아갈 수 있다. "
'이병천-인터뷰·기자회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촛불을 묻는다] 인터뷰 - 강대신문 (0) | 2021.06.18 |
---|---|
文정부 4년, 사회경제개혁 왜 실패했나- [좌담] ① <다시 촛불이 묻는다> 이병천·조돈문·전강수 교수가 짚은 '문재인 정부 4년' (0) | 2021.04.09 |
2020 4.15 총선 학계전문가 정의당지지선언 기자회견- 발언 (0) | 2020.04.13 |
삼성이 망하면 한국이 망할까?- <위기의 삼성과 한국 사회의 선택>(조돈문 이병천 송원근편) 출간기념 토크콘서트 (0) | 2020.04.13 |
‘문재인 정부의 담대한 사회경제 개혁을 촉구하는 지식인 선언’ -문재인 정부, ‘촛불정부’의 소임을 다하고 있는가? (0) | 2020.04.13 |